감사 감사 그리고 감사...

[스크랩] 와송재배방법 (와송 재배기술 ) : 3~6배이상 수확(㎡ 당 30 kg 수확가능) 와송 재배방법 에 따라, 바위솔 재배방법 본문

꿈을 담고/쉼터

[스크랩] 와송재배방법 (와송 재배기술 ) : 3~6배이상 수확(㎡ 당 30 kg 수확가능) 와송 재배방법 에 따라, 바위솔 재배방법

elimcy 2014. 4. 1. 14:28

와송재배 방법, ㎡당 15 Kg 이상 수확, 씨앗파종에서, 이식, 재배요령, 사용농자재 종류 등.

와송재배 5배이상 수확 할 수 있는 와송재배 기술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활용하여 전문재배 방법은 좌측메뉴의 와송 5배수확 와송재배 기에 있는데 특별회원만 읽을 수 있게 되여 있습니다. 우수회원은 이글에 댓글을 많이 단분,전화상담 후 등업시켜드리겠습니다.

               (아래사진은 제곱미터당 최대 30 kg 수확가능)

 

 

◎. 와송재배 방법, 재배기술 탐구.  바위솔  잘 키우는 방법.

[와송의 식물 생리적 특성]

1. 와송은 돌나물과 다년생 식물로서 다육식물류에 속한다. 일명 바위솔이라고도 한다.

    문헌에는 우리나라에 약 8종의 품종이 있다고 되여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

    번식은 유성생식인 씨앗으로 번식을 하고, 입 삽목도 가능하다.

    발아해서 1년은 자라고 겨울을 지나 이듬해 꽃이펴서 결실을 하고나면 겨울에 말라버린다.    

2. 다육식물의 가장 큰 특징이 뿌리가 과습하면 썩어버리게 되므로 재배가 까다로운 편이다.

    그러나 건조한 기후에도 잘 견디므로, 재배의 장점도 될 수가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재배방법으로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마사토를 많이 이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마사토는 비가오면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부엽토가 섞인

    마사토가 적격이다. 그런데 부엽토가 섞인 마사토구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육묘용 상토와

    팽년왕겨를 구매하여 마사토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쉽게 재배토양을 만들 수가 있다. 

3. 섭씨 영상 10도 이하가 되면 성장이 멈추고, 영하 15도 이하가 되면 죽을 수도 있다.

    그래서 겨울에는 부직포나, 집등으로 덮어두면 겨울을 이겨낼수 있기 때문에 재배가 쉽다.

    우리나라 기후에, 야생에서도 겨울은 이겨낸다.

4. 이러한 자생환경을 분석해보면, 와송에는 당연히 약리적 효능이 좋은 미네랄 성분(미량원소)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암에 좋다는 입소문이 번지면서 전국의 자생지가 수난을  당하

    게 되여 지금은 야생 와송을 구경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품 종 별 분 류 ] : 국가생물종 정보시스템 참조 <= 클릭

1. 품종별분류

둥근바위솔 :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육질이며 긴 검()모양 비슷하고 둔두(鈍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길이 3-7cm, 7-28mm로서 연한 녹색과 회자색이 항시 같이 존재한다 . 그리고 짧은 검 모양의 둥근바위솔이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의 대부분 이것이다. 근생엽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긴삼각형에 가까운 단검모양이다. 나머지 다른 사항은 연화바위솔과 비슷하다. 장검모양과 단검모양 이두품종은 구분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재배할시 장검모양이 잎이많고 수확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화바위솔 :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육질이며 편형하고 긴 타원상 주걱모양이며 끝이 뭉뚝하거나 둥글고 길이 3-7cm, 7-28mm로서 백록색이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한다. 꽃대축은 직립하며 하단부에 잎이 밀생하고 화수(花穗)에는 매우 많은 꽃이 달리며 꽃대축의 길이는 5-20cm이다. 꽃은 10-11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이 짧고 꽃 밑에 2개의 작은 포가 달리며 포는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길이 5-7mm로서 꽃받침 길이의 약 2배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열편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수술은 10, 꽃밥은 담황색이다. 씨방은 5개이고 암술대는 짧다. 열매는 대과(袋果)로서 긴 타원형이고 양쪽이 뾰족하다.

모란바위솔 : 밑부분 잎은 뚜렷한 로제트형을 하고 있으며 잎은 연변이 밋밋하며, 흰색의 골질의 부속지를 가지고 있고, 크기는 3~6cm×3~6mm이다. 줄기잎의 경우 타원형이고 주걱모양이며 연변이 밋밋한 흰색의 테두리를 갖고 있으며 끝에 뾰족한 부속지가 있다.

애기바위솔 : 꽃대 밑동에서 내는 기는줄기 끝에 숟가락 모양의 잎이 로제트 모양으로 나고, 줄기 끝의 잎은 넓은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10mm, 폭은 1-3mm이다.

거미줄바위솔 : 근생엽에 거미줄 같은 가시가 있다 

2. 자생지에 따라분류

포천바위솔 : 한탄강 주변에 자생하며 잎이두텁고 입 가장자리에 붉은 테가 있으며 사과향이 난다.
대암산바위솔
: 양구군 대암산에 자생하며 잎 전체가 녹색이며 길고 매우크다.

백두산바위솔 : 백두산에 자생하며 잎의색이 은빛을 띤 녹색이며 짧다.
정선바위솔
: 지역에 자생하며 잎이 넓고 붉은 점이 수없이 박혀 있으며 진주의 고운 색을 닮았다. 울릉바위솔 : 울릉도 도동항 주면에 자생하며 잔 가지가 많이 나며 다양한 색상이며 잎이 짧다.
상동바위솔 : 정선군 상동에 자생하며 붉은 빛을 띠며 잎이 넓고 크다.
영동바위솔 : 영동 지방에 자생하며 상동바위솔과 비슷하나 잎이 약간 두툼하며 작다.
지리바위솔 : 지리산 쪽에 자생읗 한다고 하며 잎이 얇고 바닥에 붙어 있으며 지리바위연 이라고도 부른다.
두만강바위솔 : 두만강 기슭에 자생을 하며 잎이 동그랗다.
월악바위솔 : 월악산에 자생을 하며 와송바위솔과 똑같으나 특히 겨울과 봄에 검은 색을 띤다.
한라바위솔 : 제주도에 자생을 하며 잎이 두텁고 크며 회색을 띤다.

 

[재배기술: 잘 키우는 방법]

1.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은 누구나 쉽게 재배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사토나 모래를
   이용해서 재배를 할 경우 성장 속도가 느리다. 그만큼 수확량도 떨어지고 잡초방지도 힘이든다.
2. 비닐 멀칭을 하여 잡초를 방지하면 장마철에 장마 기간이 길어지면 뿌리의 과습으로 피해를        볼  우려가 매우 높다. 가격은 조금 비싸지만 천공 부직포를 이용하면 수명도 길고 유리하다.
   (멀칭을 할 경우 이랑높이를 높게하여 장마철 대비를 하여야 한다. )

3. 와송 뿌리는 땅거미줄 같이 가늘고 많아서, 뽑거나 이식을 하면 거의 다 떨어지기 때문에 모종은
   포트재배가 좋다. 포트는 포트모양이 사각인것이 재배에 훨씬 유리하다. 왜냐하면 뿌리의  공간
   면적이 넓기 때문에 외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트래이가 아니고 컵포트 일 경우는 더욱 더 사각
   포트가 유리한데 규격에 따라 사각포트가 없는 경우가 많다. 미국산과 일본산은 기술적으로 훨씬
   잘 제작되여 있으나 가격이 너무 비싼게 흠이다. 65×65 규격은 범농에서 생산된 것이가격도
   저렴하고 미국산과 일본산의 성능과 비슷하다. 경기도 화성산업에서 2가지 규격이 생산 되는데
   가격은 비싸고 성능은 미국산 일본산에 많이 뒤진다.
4. 용토는 보습성, 무게, 가격 등을 고려 할때, 육묘용상토+팽년왕겨+마사토(혹은 가는모래)

    를  0.3: 1: 1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서로의 장단점이 보완되여 이상적이다.
5. 이랑을 만들때는 배수가 잘 되도록 이랑높이를 25cm 이상 높게 할 수록 유리하다. 부직포 멀칭
   을 하지 않을 경우는 건조되는것도 고려해야 한다.
6. 시비는 화학비료는 금하는 것이 좋다. 
유기농효소 액비를 구입하거나 만들어서 사용하는것이

    가장이상적인 방법이다. 부득이한 경우에  미량원소비료(하이포넥스)는 규정량보다 약하게

    물에타서 가끔 주는 것이 좋다. (K, P, Ca, Mg, B, Mo, Zn, Mn, Cu, Fe, Ge 등등)

7. 용토개선하고, 효소비료를 사용하면 2배이상 수확은 어렵지 않다. 

[모종생산(번식) 방법]
1. 모종생산을 위한 번식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 씨앗파종 과 분주,잎꽂이 보통은 씨앗파종방법
    으로 한다. 잎꽂이는 특이한 경우에 하는 어려운 방법이다.

    씨앗은 일반적으로 가을에 따서 봄에 파종을 하여  1년간 키우고 다음해에 1년 더 키워서 수확

    을 하는데, 가을에 따서 온실에서 바로 파종하여 늦가을에 이식하면 겨울을 지나고 다음해 바

    로 수확하는 속성재배 방법도 있다. 재배기술이 있으면 1년만에 수확을 하는 셈이다.

 2. 씨앗파종은 삽목상자나, 트레이포트를 사용한다. 용토는 육묘용상토와 곱게 선별된 마사토 
    혹 은 가는 모래를 1:1로 석어서 사용하면 좋다. 파종 후 토양이 마르지 않도록 못자리용 부직포
   를 덮어 주면 보습성이 좋아 발아하는데 아주 좋다. 약 5~8일이면 발아를 시작하는데  30일
   정도 지나면 잎이 4~6장정도 나온다. 이식시기는 모종이 작을때 일찍하는 것이 좋다.
   포트모종을 판매 할 경우는 파종을 촘촘히 하여 조금 일찍 이식하는 것이 좋다.

3. 판매 할 모종은 사각 컵포트에 생산하면 고가로 받을수 있는 부가 가치가 있다.

    개별분리포트 규격은 66 × 6.6 × 90mm 이고 받침 트래이는 총 56 cm 여서 일반 규격과 동일.

    이정도 크기는 모종판매가 어려울 경우 생체 수확도 가능하다. 밑에잎을 3장 정도 남기고 수확

    하면 다시가지순을 자라게 할 수도 있다.

     키가 8cm 미만의 모종을 생산 할때는 50구, 72구 트래이포트를 사용해도 된다.  

4. 아래 사진과 같이,

    꽃집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놈이 있어 연구 해볼려고 하나 사 왔다. 모두가 1포기인데 이 놈만

    분주가 약 20포기 정도 되였다. 왜 20개나 되였을까 ?  DNA가 다를까? 아니면 토양에 발아촉진

    호르몬이 포함되여 있었을까 ? 궁금증 있어 사왔다. 만약 시험해서 홧인만 된다면 번식에 큰

    도움이 될것 같다. 용토를 갈아서 분주를 하여 여기서도 새끼가 많이나오면 DNA가 답일 것이고,

    아니면 벤질아데닌, 키네틴, 지틴 같은 사이토키닌을 적용시켜 보면 알 것이다..

    정말 기대된다.

5. 현재 시중의 씨앗값이 너무고가이다. 자판기 종이컵(180cc)으로 1컵에 20~30만원....

     말이 안될정도로 비싼편이다. 머지않아 가격은 떨어지겠지만......특히 인터넷을 모종을 구입

     해보면 속 상하는 경우가 많다. 상품 품질이 너무 떨어진다. 모종가격도 너무비싸다.

     현재는 나무묘목보다도 비싼편이다.

6. 그리고 전문적인 재배를 할려면 품종개량도 할 필요성이 있다. 대학교나 농업기술원등의 산학

     연구기관을 통하여 품종개량을 하여 작목반을 구성하여 재배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왜냐하면 전문판매법인을 만들어 판로의 다변화를 꾀하여야 하기때문이다.

 

[와송의 활용방법]

1. 약용,식용으로 활용방법.

     생음료로 활용 : 다자란 와송을 줄기채 잘라서  믹서기로 갈아 먹기도 하고, 야쿠르토를 넣고 

                             갈아서 먹어되고, 녹즙기로 짜스 쥬스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다른과일(아로니아나, 블루베리, 등)과 같이 쥬스를 만들며 약효가 좋다. 
     건조가루로 활용 : 건조가루를 만들면 장기간 보관도 쉽고, 차로 활용하기도 쉽다.

     음식으로 활용 : 생으로 갈아서 밀가루 반죽하여, 칼국수, 수제비등에 활용하면 좋고,

                             전 부치는데 활용하면 건강식품으로도 아주 좋다.

     효소로 활용 : 설탕으로 효소를 만들어 건강식품으로 활용.

     담금주로 활용 : 생으로 소주를 넣어 담금주를 만들어 활용

     ※. 일단 암,성인병에 효능이 좋으니까 다방면으로 활용도가 좋다. 특히 수입종 보다는

          신토불이 니까, 재배기술을 활용하여 일반재배보다 5배이상 수확을  할 수있어, 다방면

           활용방법을  더욱 개선 발전 시키면 활용도 엄청날 것으로 본다.    

 

 [수익성 분석을 위한 시장조사]

1. 생와송 1Kg(건초 100g)당 시중가격 2만원 ~ 4만원 

2. 평당 최대 생산 능력(재배면적 120cm ×120cm) = 15 Kg(1포기 무게가 약 300 그람 이상)

    이식간격 20 cm 간격으로 심고 재배기술 익혀서 아래사진과 같이 우량 상품으로 키울경우 생산

    량을 5배~10배까지 수확을 늘릴 수 가 있다.  

   ( 현재 일반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평당 5 kg 생산도 드물다...)

3. 현재수요는 암환자의 한약재가 대부분 활용 되여지고 있으나, 추후 홍보전략에 따라서는

    수요창출 아이디어 개발가능성 => 암, 성인병, 다이어트식품, 한약재, 건강식품, 음료개발

     등으로 수요발생 가능성은 아주 높다가 추정됨...

4. Kg 단가를 1 만5천원 이하로 낮출경우 건강식품 채소로 활용 가능성이 높아 수요 창출이 추정됨.

5. 수익성분석에서 가장중요한 수요와 판매가능성을 조사해 보면 지금 시중가격이 너무 고가인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지금은 암에 사용 할 약재로소 가장 많이 알려졌지만 건강식품용 채소, 음료 로 활용 될 가치가 더크다. 왜냐하면 지금은 채소로 활용하기는 고가이지만 재배기술을 활용하여 5배 수확을 하면 Kg당 가격이 일반 채소와 거의 비슷 할 수 있고, 금상첨화인 것은 수확량이 많아서 문제일때는 수확량을 말려버리면 수요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그리고, 바위, 기와지붕위에서도 자랄 수 있는 특성이 기술재배 생산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애완관상용 포트재배 다육식물로서의 가치도 괞 찮은 편이다.  

 

[ 자 생(신토불이)품 종 분 석 ]

지금 재배농가 중에서 김천,진주, 고성, 산청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가야산, 지리산 자락에서 자생

되였다는 품종인 아래 사진들들의 품종이 생산,수요,공급면에서 가장 유리한 품종으로 보인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등재되여있는 둥근바위솔인것으로 보이는데 지금 재배되고 있는 것

중에서 근생엽(처음에 생긴잎)이 긴것과 짧은것 2품종이 있는데, 수확량을 많이 하기 위해서는

아래사진과 같이 잎이 긴품종을 택하는 것이 월등히 유리하다고 보여지는데, 밑둥에 분주가지를

많이 달고 있는 모종으로 종묘생산을 하는것이 기술적인 재배방식에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품종 탐구에서  앞의사진중에서 포트에 담겨있는  잎이 짧은 품종사진과 바로위의 잎이긴 품종사진을 비교해보시면 누구나 수확량을 예측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품종선택이 중요하겠지요?

[와송 포트재배 효소비료 생육시험]

1. 시중에서 팔다 남은 잔여모종이라 상태가 불량한 모종이었고, 이식 장애까지 받아서 10일정도는

    성장이 되지를 않고 10일 정도 지나서야 자라는 것이 눈에보이는 것 같았다 .

    효소비료(요술비료)를 이틀에 한번 분무해 주었더니 잘 자랐다.  직경 9cm 포트에 심었는데,

    속성으로 자라서 포트의 높이가 작아서 28일차에 가로 14cm  포트에 옮겨심은 사진입니다.

    잎 마다 가지가 올라오는것을 보니 지금은 생육상태가 양호. 다시 일주일은 이식 장애를 받을것

    같습니다. 아직도 조그마하게 보이는 분의 와송은, 야생에서 채취한 모종 같아서 구입하여,

    심을려고 보니, 잎은 힘이 없고 뿌리가 거의다 찢어진 상태라서, 살수 있을지 걱정이었는데,

    은 잎이 싱싱해 지고 크기도 제법 자랐다.

    효소비료(요술비료) 덕분인것 같다. 발효효소비료만 사용 도 2배이상 잘

   키울 수 있다. 수확을 2배이상 개선시키는것 간단한 셈이다.

   토양에다 유기물 발효시키는 방법과, 발효효소비료를시비하는 방법이다 . .

 

 

아래사진은 야생 산채한 모종인데 잔뿌리는 거의 없고 중심뿌리도 찢겨져서 죽을지도 모를것 같은 상태인것을 란석 소립에 정성들여 심고 유기농 효소비료를 2~3일마다 주었는데 1개월 만에 뿌리의 발달이 놀라울 정도로 자랐고 분이 적은 것 같아 직경 14cm로 옮기기 전의 사진이다.

효소비료의 효능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다른 다육식물 키우는 것도 훨씬 쉬울 것 같다.

이 방법만  재배에 적용 한다 해도 2배 수확은 간단 할 것 같다. 여기에 생퇴비 발효토양을 추가 한다면 3~4배 수확도 충분히 가능 할 것 같다. 정말 기대 된다.

 

 

[ 3배수확 재배기술의 세부사항]=>특별회원에게만 공개예정

  [구체적인 실시방법]=>좌측메뉴의 와송 5배수확 재배기술 참조

 ▣. 번 식 방 법  => 씨앗파종,분주 (특수한 경우에는 잎꽂이로 한다. 품종시험)

 ▣. 배양토 준비 => 육묘용상토, 마사토(혹은 뻘모래), 팽년왕겨, 상토 , 연탄재 : 적의조정 

 ▣. 재 배 시 설 => 노지시설, 비닐온실 : 재배자의 현실에 맞게 택일

     1. 온실의 경우 :

     2. 노지시설의 경우 :  

 ▣. 퇴비의 효율적준비 및 이용 =>

▣. 병충해 방제.

     1. 약용식물이라이라 농약을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예방.

     2. 녹병(바이러스병) 예방 => "와송의 병해"  검색하여 참고.

 ▣. 판매용 모종생산 => 농가용, 관상용 

 ▣. 성장조정제의 활용방법 => 관상용에 사용

 ▣.  상 품 판 매 전 략(홍보전략)  =>광고매체의 활용방법, 직접판매, 인터넷판매

출처 : ▦ 대구 와송마을, 5배수확 와송 재배방법 교육,와송농장 ▩
글쓴이 : 와송과미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