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 감사 그리고 감사...

[스크랩] 대봉감 재배방법 본문

꿈을 담고/쉼터

[스크랩] 대봉감 재배방법

elimcy 2013. 1. 8. 21:25

보낸사람
: 운곡 12.10.31 05:30 주소추가  수신차단
상세보기

날짜정보 영역에 악성코드 등 비정상적인 내용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 보안을 위해 표시를 제한 합니다.

대봉감 재배방법

1. 재배포장

  ① 재배포장은 표토가 깊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질이 풍부한 사양토 또는 양토를

     선정한다.

  ② 대봉감의 과원은 경사도가 15도이하이고 지하수위가 1m이상 되는 곳을 선정하고,

     물빠짐이 좋고, 병해충방제 등 관리가 용이한 토지를 선정하고, 유기질비료 시용

     등 적절한 토양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 묘목의 선정

  ① 품종이 정확하고, 가는 뿌리가 많고, 원뿌리가 곧은 것으로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우량묘목을 선정한다.

  ② 묘목의 길이는 100cm 이상이고, 직경이 1.5cm 이상이어야 한다.


3. 재식시기

  ① 봄 심기는 해빙과 동시에 일찍 심는 것이 좋으므로 늦어도 4월 상순을 넘기지

     않도록 적기에 심고 충분한 관수를 실시하여 고사를 방지한다.

  ② 가을심기를 할 경우 동해에 주의하고 나무사이에 흙을 3040cm정도 복토하였다가

     해빙과 동시에 복토를 원위치로 제거해 준다.

    

4. 재식거리 및 방식

  ① 재식거리는 너무 좁지 않도록 심되, 토양의 비옥도를 고려하여 조정한다.

  ② 재배방식은 정방형식, 장방형식, 오점형식 중 생산자의 포장 재배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이용한다.


5. 묘목심기

  ① 토양에 따라 구덩이 파기가 다르나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는 보통 직경 100cm,

     깊이 100cm로 파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도랑식으로 파는데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판다.

  ② 구덩이는 가능한 일찍 파서 풍화를 시켜 흙을 부드럽게 한다.

  ③ 미리 파둔 구덩이에 거친 퇴비와 석회 등을 흙과 충분히 섞어 반정도 메우고

     나머지는 완숙퇴비와 흙으로 완전히 메운다.

  ④ 구덩이를 메운 흙이 가라앉은 후 40cm 깊이로 파고 밑바닥을 다진 후 묘목뿌리를

     고루 펴 겉흙으로 메우면서 물을 충분히 준다.

  ⑤ 접목부위가 지상보다 58cm 높게 심으며 묘목은 5060cm 높이에서 자른다.


6. 관수와 배수

  ① 가뭄 및 습해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관?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 병해 및

     생리적 낙과와 낙엽 등을 예방하고 과실의 생육과 비대가 충실하며 착색과 당도가

     양호하도록 한다.

  ② 1015일간 2030㎜의 강우량이 없으면 관수를 시작하고, 청경 재배의 경우

     710일간 비가 내리지 않으면 관수를 실시한다.

  ③ 습해 피해가 우려되는 여름철 장마기와 집중 호우시에는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배수구를 파거나 1m 이상 성토하여 과수를 재식한다.

  ④ 관수용 수질은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2조 관련 수질기준의 농업용수에 적합하도록

     하천수와 호수의 물은 4등급 이상, 지하수는 농업용수로서 허용되는 수질등급 이상의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7. 시비관리

  ① 시비량은 수령, 토양조건, 수분, 품종, 착과상태, 생육상태 등에 따라 농촌진흥청

     및 농업기술센터에서 표준시비량을 기준으로 한다.

     < 표 준 시 비 량 >  


※ 웃거름은 2회 분시 : 질소는 50 : 50%, 칼리는 70 : 30% 

 ? 퇴구비 : 수령 12년은 500㎏/10a,

              34년은 1,000㎏/10a,

              56년은 1,200㎏/10a, 

              78년은 1,500㎏/10a,

            910년은 1,700㎏/10a,

            11년 이상은 2,000㎏/10a

  ? 석  회 : 200㎏/10a

 

수령

(년)

밑거름

덧거름

합계

질소

인산

칼리

질소

인산

칼리

질소

인산

칼리

1 ~ 2

1.3

1.5

1.0

1.2

0

1.0

2.5

1.5

2.0

3 ~ 4

3.0

2.0

2.3

3.0

0

2.2

6.0

2.0

4.5

5 ~ 6

5.0

4.0

4.0

5.0

0

4.0

10.0

4.0

8.0

7 ~ 8

7.5

6.0

6.0

7.5

0

6.0

15.0

6.0

12.0

9 ~ 10

9.5

8.0

8.0

9.5

0

7.5

19.0

8.0

15.5

11 이상

12.5

12.0

12.0

12.5

0

12.0

25.0

12.0

24.0

  ② 분시 비율은 다음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하게 구성하며 품종, 토양 조건, 비료의

     종류, 기상 조건을 감안하여 비료를 분시하면 된다.

< 감에 대한 시비량 분시율(%) >

※ 퇴비, 석회는 심경하고 밑거름으로 사용

비료성분

밑거름

덧거름

가을거름

질   소

60

20

20

인   산

100

0

0

칼   리

60

40

0

8. 병행충 방제

  ① 고품질의 안전한 떫은감의 생산을 위하여 자연친화적인 방제방법을 우선한다.

  ② 농약관리법시행령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기에

     적정약제를 살포한다.

  ③ 전염원인 피해 낙엽을 흙 속에 묻거나 불에 태워 철저히 없애고, 해충의 서식처를

     미리 발견하여 없애도록 한다.

  ④ 퇴비와 석회를 시용하여 지력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성질을 개량하여 감의 건전한

     생육을 도모한다.


9. 정지 전정

  ① 정지?전정은 품종, 수령, 기상, 지형, 시비, 착과량, 농기계작업, 재배자의 과원

     경영 방식에 따라 관리 방법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② 정지?전정을 통해 죽은 가지, 병해충 피해를 받은 가지를 제거하고, 나무의 크기,

     가지 생장을 제한함으로써 햇빛 투과와 통풍을 좋게 하며 작업을 편리하도록 하여

     해거리를 방지하고 과실의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10. 결실관리

  ① 발아가 시작된 후 꽃눈이 치명적인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저온내습 및 늦서리에 주의

  ② 수분수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것을 선택한다.

    ▷ 수꽃의 개화기가 주 품종보다 빠르거나 같을 것

    ▷ 수꽃의 수가 많고, 매년 안정적으로 꽃이 달리는 품종일 것

    ▷ 꽃가루 양이 많은 품종일 것

    ▷ 수세가 강하지 않고 직립성인 품종일 것

    ▷ 수분수 자체의 과실도 경제성이 높은 품종일 것

  ③ 봉오리를 따주는 시기는 개화 1015일전 새가지가 약간 굳어진 후에 실시하도록

     하고, 열매를 솎는 시기는 생리적 낙과가 끝난 직후에 실시한다.

  ④ 생리적 낙과는 감의 자연조절현상이나 과다한 생리적 낙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분, 배수, 시비 등을 적절히 관리한다.


11. 수확

  ① 과실이 과숙되어 연화되지 않도록 단단한 적숙기(10월하순~11월상순)에 수확한다.

  ② 과실의 크기와 색깔이 품종 고유의 성질을 나타내는 적숙기에 수확하되, 갑작스런

     저온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일기예보에 주의하여 저온내습 이전에 수확하도록 한다.

  ③ 수확은 과실 표면에 물기가 없는 맑은날 수확하며 과실표면에 상처나 압상을 받지

     않도록 수확한다


12. 저장

  ▷ 온도는 0℃, 습도는 70~80%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한다.

출처 : ★ 목양골 농장
글쓴이 : 운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