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 감사 그리고 감사...
[스크랩] 대봉감 재배방법 본문
- 보낸사람
- : 운곡 <dbsskaduf@daum.net> 12.10.31 05:30 주소추가 수신차단
- 숨기기
받는사람 |
|||
---|---|---|---|
보낸날짜 |
: 2012년 10월 31일 수요일, 05시 30분 18초 +0900 |
- 보낸사람
- : 운곡 <dbsskaduf@daum.net> 12.10.31 05:30 주소추가 수신차단
- 상세보기
Content-Type |
: text/html; charset=utf-8 | ||
---|---|---|---|
Content-Transfer-Encoding |
: 8bit | ||
X-Originating-IP |
: [114.108.155.148] | ||
From |
: "=?utf-8?B?7Jq06rOh?=" <dbsskaduf@daum.net> | ||
Organization |
: | ||
To |
: <dbsskaduf@daum.net> | ||
Subject |
: =?utf-8?B?W+yKpO2BrOueqV0g64yA67SJ6rCQIOyerOuwsOuwqeuylQ==?= | ||
X-Mailer |
: Daum Web Mailer 1.1 | ||
X-Hanmail-Scrap-Info |
: iEB53qqyV3z43Bfr+CQ62MkbLxaB1F9/L5cTWdxau/eto3LLu1wQQN8/d1SNqC8uIncQum9+u+JojD3UuWtC2cFe4+eyDpt2hmwmrGYu8ueV+YTOtC1ygBIuMjm2S5Wu4czjz1v21IgW68F3MfS402RYZPXrZeAbj5fCMzy9VQCTPsJmmVhvareVzII978P/Wc2q9cq76kh8OWn6XYOfgg== | ||
Date |
: Wed, 31 Oct 2012 05:30:18 +0900 (KST) | ||
Message-Id |
: <20121031053018.HM.0000000000003hv@dbsskaduf.wwl1437.hanmail.net> | ||
Errors-To |
: <dbsskaduf@daum.net> | ||
X-HM-UT |
: 8VlWJKkzCIc6OI6LFguf/pFEd83eJjHWQSiC57GfZ+Y= | ||
X-HM-FIGURE |
: 39+xumyVseC/tlALQCNPYXRo2NFktTV4 | ||
MIME-Version |
: 1.0 |
날짜정보 영역에 악성코드 등 비정상적인 내용이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 보안을 위해 표시를 제한 합니다.
대봉감 재배방법
1. 재배포장
① 재배포장은 표토가 깊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질이 풍부한 사양토 또는 양토를
선정한다.
② 대봉감의 과원은 경사도가 15도이하이고 지하수위가 1m이상 되는 곳을 선정하고,
물빠짐이 좋고, 병해충방제 등 관리가 용이한 토지를 선정하고, 유기질비료 시용
등 적절한 토양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 묘목의 선정
① 품종이 정확하고, 가는 뿌리가 많고, 원뿌리가 곧은 것으로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우량묘목을 선정한다.
② 묘목의 길이는 100cm 이상이고, 직경이 1.5cm 이상이어야 한다.
3. 재식시기
① 봄 심기는 해빙과 동시에 일찍 심는 것이 좋으므로 늦어도 4월 상순을 넘기지
않도록 적기에 심고 충분한 관수를 실시하여 고사를 방지한다.
② 가을심기를 할 경우 동해에 주의하고 나무사이에 흙을 30~40cm정도 복토하였다가
해빙과 동시에 복토를 원위치로 제거해 준다.
4. 재식거리 및 방식
① 재식거리는 너무 좁지 않도록 심되, 토양의 비옥도를 고려하여 조정한다.
② 재배방식은 정방형식, 장방형식, 오점형식 중 생산자의 포장 재배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이용한다.
5. 묘목심기
① 토양에 따라 구덩이 파기가 다르나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는 보통 직경 100cm,
깊이 100cm로 파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도랑식으로 파는데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판다.
② 구덩이는 가능한 일찍 파서 풍화를 시켜 흙을 부드럽게 한다.
③ 미리 파둔 구덩이에 거친 퇴비와 석회 등을 흙과 충분히 섞어 반정도 메우고
나머지는 완숙퇴비와 흙으로 완전히 메운다.
④ 구덩이를 메운 흙이 가라앉은 후 40cm 깊이로 파고 밑바닥을 다진 후 묘목뿌리를
고루 펴 겉흙으로 메우면서 물을 충분히 준다.
⑤ 접목부위가 지상보다 5~8cm 높게 심으며 묘목은 50~60cm 높이에서 자른다.
6. 관수와 배수
① 가뭄 및 습해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관?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 병해 및
생리적 낙과와 낙엽 등을 예방하고 과실의 생육과 비대가 충실하며 착색과 당도가
양호하도록 한다.
② 10~15일간 20~30㎜의 강우량이 없으면 관수를 시작하고, 청경 재배의 경우
7~10일간 비가 내리지 않으면 관수를 실시한다.
③ 습해 피해가 우려되는 여름철 장마기와 집중 호우시에는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배수구를 파거나 1m 이상 성토하여 과수를 재식한다.
④ 관수용 수질은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2조 관련 수질기준의 농업용수에 적합하도록
하천수와 호수의 물은 4등급 이상, 지하수는 농업용수로서 허용되는 수질등급 이상의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7. 시비관리
① 시비량은 수령, 토양조건, 수분, 품종, 착과상태, 생육상태 등에 따라 농촌진흥청
및 농업기술센터에서 표준시비량을 기준으로 한다.
수령 (년) |
밑거름 |
덧거름 |
합계 | ||||||
질소 |
인산 |
칼리 |
질소 |
인산 |
칼리 |
질소 |
인산 |
칼리 | |
1 ~ 2 |
1.3 |
1.5 |
1.0 |
1.2 |
0 |
1.0 |
2.5 |
1.5 |
2.0 |
3 ~ 4 |
3.0 |
2.0 |
2.3 |
3.0 |
0 |
2.2 |
6.0 |
2.0 |
4.5 |
5 ~ 6 |
5.0 |
4.0 |
4.0 |
5.0 |
0 |
4.0 |
10.0 |
4.0 |
8.0 |
7 ~ 8 |
7.5 |
6.0 |
6.0 |
7.5 |
0 |
6.0 |
15.0 |
6.0 |
12.0 |
9 ~ 10 |
9.5 |
8.0 |
8.0 |
9.5 |
0 |
7.5 |
19.0 |
8.0 |
15.5 |
11 이상 |
12.5 |
12.0 |
12.0 |
12.5 |
0 |
12.0 |
25.0 |
12.0 |
24.0 |
② 분시 비율은 다음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하게 구성하며 품종, 토양 조건, 비료의
종류, 기상 조건을 감안하여 비료를 분시하면 된다.
< 감에 대한 시비량 분시율(%) >
비료성분 |
밑거름 |
덧거름 |
가을거름 |
질 소 |
60 |
20 |
20 |
인 산 |
100 |
0 |
0 |
칼 리 |
60 |
40 |
0 |
8. 병행충 방제
① 고품질의 안전한 떫은감의 생산을 위하여 자연친화적인 방제방법을 우선한다.
② 농약관리법시행령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기에
적정약제를 살포한다.
③ 전염원인 피해 낙엽을 흙 속에 묻거나 불에 태워 철저히 없애고, 해충의 서식처를
미리 발견하여 없애도록 한다.
④ 퇴비와 석회를 시용하여 지력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성질을 개량하여 감의 건전한
생육을 도모한다.
9. 정지 전정
① 정지?전정은 품종, 수령, 기상, 지형, 시비, 착과량, 농기계작업, 재배자의 과원
경영 방식에 따라 관리 방법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② 정지?전정을 통해 죽은 가지, 병해충 피해를 받은 가지를 제거하고, 나무의 크기,
가지 생장을 제한함으로써 햇빛 투과와 통풍을 좋게 하며 작업을 편리하도록 하여
해거리를 방지하고 과실의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10. 결실관리
① 발아가 시작된 후 꽃눈이 치명적인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저온내습 및 늦서리에 주의
② 수분수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것을 선택한다.
▷ 수꽃의 개화기가 주 품종보다 빠르거나 같을 것
▷ 수꽃의 수가 많고, 매년 안정적으로 꽃이 달리는 품종일 것
▷ 꽃가루 양이 많은 품종일 것
▷ 수세가 강하지 않고 직립성인 품종일 것
▷ 수분수 자체의 과실도 경제성이 높은 품종일 것
③ 봉오리를 따주는 시기는 개화 10~15일전 새가지가 약간 굳어진 후에 실시하도록
하고, 열매를 솎는 시기는 생리적 낙과가 끝난 직후에 실시한다.
④ 생리적 낙과는 감의 자연조절현상이나 과다한 생리적 낙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분, 배수, 시비 등을 적절히 관리한다.
11. 수확
① 과실이 과숙되어 연화되지 않도록 단단한 적숙기(10월하순~11월상순)에 수확한다.
② 과실의 크기와 색깔이 품종 고유의 성질을 나타내는 적숙기에 수확하되, 갑작스런
저온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일기예보에 주의하여 저온내습 이전에 수확하도록 한다.
③ 수확은 과실 표면에 물기가 없는 맑은날 수확하며 과실표면에 상처나 압상을 받지
않도록 수확한다
12. 저장
▷ 온도는 0℃, 습도는 70~80%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한다.
'꿈을 담고 >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원생활도 즐기고 돈도버는 (0) | 2013.01.12 |
---|---|
[스크랩] 귀농ㆍ귀촌 시골생활에 꼭 기억해 두어야 할 10가지 (0) | 2013.01.11 |
[스크랩] 감나무 재배법 (0) | 2013.01.08 |
[스크랩] 각종채소/농작물 파종시기 및 재배법 (0) | 2012.12.13 |
[스크랩] 텃밭농사재배력 (0) | 2012.12.13 |